평상시 네트워크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하면서도 정작 어떤 형태와 어떤 요소로 구성이 되어 있는지 잘 모르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네트워크의 구분
네트워크는 물리적 구성과 논리적 구성으로 구분이 됩니다. 물리적 구성으로는 단말, 교환, 전송시스템 등으로 구분하고 논리적으로는 스테이션, 노드, 링크 등으로 구분합니다. 물리적과 논리적의 차이에 대해 쉽게 설명하자면 물리적인 것은 실제 보이는 것에 대한 것으로 생각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즉 사용자가 파일들을 별도로 보관하기 위해 산 SSD와 내 컴퓨터 간의 연결은 물리적인 것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논리적 구성은 가상화(VDI) 또는 하드를 파티션으로 나눠 쓰는 것 등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물리적 구성의 세가지 시스템
단말시스템
단말시스템은 문자나 기타의 정보를 통신회선으로 전송하기 쉬운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통신회선으로 전달된 전기적 신호를 문자나 기타의 정보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단말장치 또는 단말기를 말합니다. 단말장치, 딘 말기에 해당하는 제품들로 PC나 휴대전화, FAX 등을 의미합니다. 즉 사용자와 직접적인 교류를 하는 장치입니다.
교환시스템
여러 통신을 통해 모은 것을 통신회선 한 개로 모으고 배분하는 역할을 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여기에 해당하는 것은 라우팅, 스위칭 등이 있습니다.
전송시스템
단말시스템에서 전기적 신호를 상대측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입니다. 다중화 기술이라고도 하는데 여러 개의 단말로부터 들어온 것을 하나의 회선으로 내보내는 것입니다. 동축케이블, 광케이블과 같은 유선 전송계와 마이크로파, 와이파이 등의 무선 전송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전송 시스템의 효율을 결정하는 두 가지 요소는 트래픽과 대역폭입니다.
네트워크의 논리적 구성 요소
스테이션
스테이션은 물리적 구성의 단말시스템과 유사한 개념입니다. 무선 매체에 대하여 고속 이진 부호 분할 다중 접속에 대응하는 물리 계층 및 매체 접근 제어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기기입니다.
노드
물리적 구성의 교환시스템에 해당되는 개념입니다. 그래프는 점과 선으로 구성되는데, 이 점을 노드 또는 절점이라 합니다. 선은 두 개의 노드를 연결한 것입니다. 그래프는 현실 문제를 추상화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노드는 하나의 기능 단위를, 변은 그 사이의 정보 흐름이나 관계를 나타냅니다.
링크
전송로 또는 통신회선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네트워크 자체를 의미하기도 합니다.